Purchase Process
전자계산서 도입배경
2000년 이후 B2B(Business to Business) 전자상거래가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사업자간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세금계산서의 전자적 교부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으며 전통적 상거래에 있어서도, 교부나 보관 등 세금계산서 관련 업무의 효율화를 위해 도입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국세청에서는 관련규정을 정비하여, 2001년 1월부터 전자세금계산서를 인터넷을 통해 수수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.
전자세금계산서 교부 및 보관절차
사업자는 인터넷을 통해 세금계산서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, 공인인증기관의 인증을 거치거나, 이에 준하는 기술을 사용하는 사설인증기관이나 자체 인증시스템 등을 통해 전자세금계산서를 교부하여야 합니다.
이를 통해 교부자와 전자세금계산서 상의 공급자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고, 전송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·변조를 예방할수 있습니다.
전자세금계산서를 종이로 출력해서 보관할 필요는 없으며, 원본파일을 하드디스크, 디스켓, 전산테이프 등 각종 전산매체에 의해 5년간 보관하되, 세무공무원의 정당한 요구가 있는 경우에 열람 및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보관해야 합니다.
세금계산서 서비스 개요
세금계산서의 발행, 수령, 보관 등 일련의 세금계산서 관련 프로세스를 온라인상에서 제공 하며,PKI 기반의 공인인증서를 채택하여 중요 정보의 암호화, 신원확인 및 거래부인방지를 통해 완벽한 보안거래가 가능합니다.

전자계산서 발행 및 조회
오프라인에서 종이 형태의 세금계산서를 작성하듯이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실 수 있으며 발급된 세금계산서는 해당 업체의 담당자에게 메일로 알림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손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역발행 세금산서를 이용한 회계 시스템 연동
각 사의 회계 시스템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통해 역으로 공급자에게 제공하여 원하는 세금계산서를 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 SmartBill에서 제공하는 포맷에 맞춰 회계 시스템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으신 후 업로드 과정을 통해 손쉽게 역발행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.
종이세금계산서 입력 및 조회
오프라인상으로 주고 받은 종이세금계산서를 SmartBill 에 입력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 종이세금계산서와 전자 세금계산서를 통합하여 부가세 신고시 매입처/매출처별 합계표를 출력하실 수 있습니다.
부가세 신고자료 제공
부가세 신고에 필요한 매입처/매출처별 합계표 및 모든 전자세금계산서를 편리하게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.
본/지사관리 및 다수의 사용자 관리 기능
본사와 지사의 관계를 SmartBill에 반영하여 본사에서 지사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. 다수의 업무담당자로 하여금 전자세금계산서 작성 및 조회 등 다양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분담할 수 있도록 기업관리자는 업무담당자의 서비스 이용 권한을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.
비용절감
세금계산서의 발행/송달/접수,보관이 온라인상에서 수행되므로 공급자측에서 오프라인 세금계산서의 재발행, 송달 등으로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.
업무 효율성 향상
세금계산서의 수정, 재발행 및 재전송을 온라인상에서 손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. 회계시스템의 정보와 세금계산서 내역의 대사가 용이하여 업무 효율성이 향상됩니다. SmartBill 에서는 세금계산서 파일을 5년간 보관하므로 검색을 통해 언제든지 손쉽게 조회 및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.
업무 정확성 제고
담당자간의 전달 및 접수확인 등의 과정이 투명해져 정확성이 향상됩니다. 누락 및 오기 방지가 되며, 향후 대사 과정이 용이하여 세금계산서 내역의 정확성이 높아집니다.